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정보성

헷갈리는 국가 공휴일 한방에 정리 !!

by 매니뷰어 2021. 6. 4.

 

안녕하세요 매니뷰어입니다. 저는 예전부터 공휴일의 날짜를 자주 헷갈려했습니다.
또한 이날이 쉬는 날이 맞는지도 헷갈려했습니다. 오늘은 헷갈리는 공휴일에 관련된 것들을 한방에 정리해보겠습니다.
공휴일과 국경일의 차이를 정라하고 현행되는 법적 공휴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휴일과 국경일의 차이

보통 공휴일과 국경일을 혼동하기도 하는데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나라에서 법률로 정해놓은 날입니다. 법적 국경일은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5일입니다.
공휴일은 국가나 공공기관 등에서 공식적으로 지정한 휴일으로써 보통 달력의 빨간날을 공휴일이라고 합니다. 현행되는 법적 공휴일은 일요일과 선거일, 수시 지정하는 날을 제외하고 총 15일입니다.

국경일이라고 해서 무조건 공휴일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헌절은 국경일로 지정되어 있으나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는 제외되었습니다.


현행 법적 공휴일

1. 양력설(새해 첫날) : 1월 1일
말 그대로 양력 달력의 새해 첫날입니다. 양력설은 본래 1월 3일까지 연휴였으나 1990년과 1999년 각각 하루씩 공휴일에서 줄어들어 현재는 1월 1일 하루만 공휴일입니다. 이날 사람들은 해돋이를 보기 위해 바닷가를 찾습니다. 해가 뜰떄 소원을 빌고 한 해에 대한 다짐을 합니다.

2. 설날 : 음력 12월 말일, 음력 1월 1일, 음력 1월 2일
민족 대명절인 설날입니다. 온가족이 한데 모여 친척이나 이웃 어른들꼐 세배를 하고, 조상님들께 차례를 지냅니다. 그리고 한살을 더 먹는다는 의미인 떡국을 먹고 윷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등의 민속놀이를 즐기는 날입니다. 설날은 2014년부터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 공휴일이 되었습니다.

3. 3·1절 : 3월 1일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3·1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입니다. 이 날에는 각계각층의 유명인사들이 모여 기념식을 거행하여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정신인 3·1 정신을 되새깁니다. 그리고 나라를 위해 싸우다 순국한 선열들을 기리는 의식 또한 진행됩니다. 전국 관공서 및 가정에서는 태극기를 게양해 3·1절을 기립니다.

4. 부처님 오신 날 : 음력 4월 8일
불교의 대표 명절로 "석가탄신일"로도 불립니다. 흔히들 석가모니의 탄신일이라고 알고 있지만 사실은 수행자 싯다르타 왕자가 비로소 부처의 경지에 도달한 날을 석가탄신일이라고 한다. 2017년까지는 공식적으로 석가탄신일이라고 불렸지만 그 이후에 사찰에서 쓰는 말인 부처님 오신 날로 바뀌었습니다.

5. 어린이날 : 5월 5일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 였던 방정환이 만든 날로 어린이의 건전육성과 지위 상향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날은 보통 부모와 어린이들이 서로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어린이날은 대체 공휴일이 인정되는 공휴일입니다.

6. 현충일 : 6월 6일
나라를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과 전몰한 장병들의 충렬을 기리고 얼을 위로하기 위해 지정된 날입니다. 이날 태극기는 기를 최대까지 올렸다가, 내린 뒤 깃대의 절반 쪽에서 멈추는 조기를 게양합니다. 이는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 예도, 경의 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7. 광복절 : 8월 15일
1945년에 해방이 되고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과정을 아울러 광복이라 하고 이를 기념하는 기념일로 지정하였습니다. 특이하게 남북이 유일하게 공유하는 기념일입니다.

8. 추석 : 음력 8월 14일, 15일, 16일
추석 또는 한가위라고 불리며 설날과 더불에 한민족의 중요 명절입니다. 일가친척들이 고향에 모여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추석은 대체 공휴일이 적용되는 공휴일입니다.

9. 개천절 : 10월 3일
한국사 최초 국가인 단군조선의 건국 기념일로 국경일로도 지정되어 있습니다. 하늘을 열었다는 개천(開天)’이란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 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천절 또한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입니다.

10. 한글날 : 10월 9일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 날은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한글에 대한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날이며 국경일로도 지정된 날입니다.

11. 기독탄신일(크리스마스) : 12월 25일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명절로 주로 기독교 문화권의 영향이 강한 나라에서 성탄절이라고 불린다.
우리나라에서 이날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문화적인 의미를 더 많이 갖고 있습니다. 가족이나 연인들이 모여 서로 정을 나누는 날입니다.

12. 선거일
선거일 또한 법적 공휴일이며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 선거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공휴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공휴일과 국경일의 차이를 정확하게는 구분 짓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