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이슈성

기성용 성폭 논란 정리 (새로운 국면, 끝없는 폭로전)

by 매니뷰어 2021. 5. 25.

축구선수 기성용의 성폭력 논란이 끊임없이 언론전과 폭로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논란에 대한 총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논란의 시작

2021년 2월 24일, 21년전에 전라남도의 한 초등학교에서 두 명의 선배 선수인 A,B가 두 명의 후배 선수인 C, D에게 유사 성행위를 강요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해당 폭로는 피해 선수의 법정 대리인인 박지훈 변호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폭로자는 가해자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언론을 통해 밝힌 가해자 A의 신상과 일치하는 선수는 기성용 선수 밖에 없기에 가해자 A는 기성용으로 특정되었다.

 

2. 당사자들의 부인

기성용 측은 에이전트사 관계자를 통해 성폭력과는 전혀 관련 없으며, 추후 이와 관련된 오명으로 입은 피해와 향후 발생 가능한 피해에 대해서 법정대응을 불사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또한 기성용과 함께 가해자로 지목된 B씨는 "학폭이 있었다면 사과하지만 성폭력은 절대 없었다"라고 말하며 의혹을 부인했다. B씨는 "축구부 동료로서 365일 내내 30명 넘는 인원이 합숙 생활을 했다. 절대 발생할 수 없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3. 폭로자들에 대한 폭로

돌연 이번 사건에 새로운 국면이 밝혀졌다. 바로 피해자라고 지목된 C와 D가 오히려 중학교에 진학해 성폭력 가해자로 강제전학을 당하는 등 처벌을 받았다는 소식이 밝혀졌다. 지금부터 C, D에게 성폭행을 당했던 사람을 E라고 지칭하겠다.

또한 당시 팀 동료는 초등학교 시절에 20~30명이 함께 있는 숙소에서 두 명을 따로 불러낼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고  A(기성용)과 B가 그런 일을 하려고 해도 일어나기 힘든 상황이라면서 기성용의 강압적 성폭력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4. 폭로자 측의 2차 입장 표명

폭로자 측의 박 변호사는 “기성용 선수가 C와 D에게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고 명백한 증거를 확보하고 있다"라고 발표했다. 또한 피해자인 C, D가 기성용 측으로부터정정보도문을 다시 배포할 것을 요구(강요) 받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박 변호사는 "C와 D는 2004년도에 자신들이 저지른 학교폭력을 모두 인정하며 피해자들에게 진심으로 사죄한다"면서 "다만 철저한 조사를 통해 C와 D는 모두 엄한 징계 및 처벌을 받은 사실이 있다"라고 발표했다. 

 

5. 폭로자 C, D의 피해자인 E의 분노

그 후 폭로자들의 피해자인 E가 인터뷰를 통해 "직접적인 사과가 아닌 기사를 통해 사과받았고, 이는 진정성이 없는 사과라고 생각해 입장문을 보고 매우 분노했다." 라며 자신의 입장을 발표했다. 또한 "폭로자들이 기성용에게 당했다면 증거를 공개해야 하는데, 왜 바로 공개하지 못 하나."라며 일갈했다.

 

6. 폭로자 측의 계속되는 입장표명

폭로자 측은 첫 폭로 당시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비공개로라도 기성용이 진심을 담은 사과를 하길 바라고, 기성용이 성폭행을 했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있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미심쩍은 부분은 존재한다.

폭로자들은 PD수첩 방송을 통해  기성용의 성폭력에 대한 또 다른 목격자들이 있다고 말했다. PD수첩은 이들의 증언을 확보했으나, 목격자들이 법원에서 증언하기를 원했기에 방송에서는 보도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7. 기성용 측 민형사상 고소

이후 기성용 측은  "기성용에게 성폭행당했다고 주장하는 C, D에게 형사 책임을 묻기 위해 고소장을 접수했고, 동시에 5억원의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했다.

 

8. 폭로자 측의 경찰 조사

폭로자인 C는 24일 서울 서초경찰서로 출석하면서 취재진에 “폭로 이후 기성용 측에서 사과하겠다며 폭로한 내용이 오보라는 기사가 날 수 있게 도와달라, 없던 일로 해달라는 부탁이 왔다”라고 주장했다.

 

-자료 출처 나무위키-

 

 

여기까지가 기성용 성폭 논란의 대한 정리입니다. 이 논란의 공방전은 현재 진행형이며 많은 폭로가 있었지만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별로 없습니다. 중립기어 박고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